2025년 민생지원금 맞벌이 소득 기준 확인
맞벌이도 받을 수 있나요? 2025년 민생지원금 소득기준 한눈에 정리
최근 정부가 발표한 2025년 민생지원금은 전 국민 대상이지만,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지급됩니다.
그중 가장 많이 묻는 질문이 바로 “맞벌이 가구도 받을 수 있나요?”입니다.
✔️ 맞벌이 가구 지원 여부 핵심 요약
- 민생지원금은 가구 전체의 총소득을 기준으로 지급
- 부부 합산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100% 이하이면 맞벌이도 지원 대상
- 1인당 최대 25만 원 지급 (상위 10%는 감액)
📊 2025년 기준 중위소득 100% 월소득표 (세전)
가구원 수 | 월 소득 기준 | 연 소득 기준 |
---|---|---|
2인 가구 | 3,932,658원 | 47,191,896원 |
3인 가구 | 5,025,353원 | 60,304,236원 |
4인 가구 | 6,097,773원 | 73,173,276원 |
5인 가구 | 7,108,192원 | 85,298,304원 |
🔍 맞벌이 가구 대상 예시
- 2인 가구 (맞벌이 부부): 합산 월소득이 393만 원 이하면 대상
- 3인 가구 (맞벌이 + 자녀 1명): 합산 월소득이 502만 원 이하면 대상
- 4인 가구 (맞벌이 + 자녀 2명): 합산 월소득이 610만 원 이하면 대상
📌 민생지원금 지급 금액
- 기본: 1인당 25만 원
- 소득 상위 10%: 1인당 15만 원
- 인구소멸지역 거주 시: 추가 1~5만 원 가산 가능
🧾 유의사항
- 총소득 기준은 세전 기준으로, 상여금·이자·사업소득 포함
- 건강보험료는 참고지표일 뿐, 소득 판단은 국세청 소득자료 기준
- 중위소득은 보건복지부 고시 기준으로 매년 조정됨
🙋 자주 묻는 질문 (Q&A)
Q1. 맞벌이인데도 지원받을 수 있나요?
네. 합산 소득이 중위소득 100% 이하라면 지원 대상입니다. 자녀가 있다면 기준은 더 높아집니다.
Q2. 재산이 많으면 제외되나요?
민생지원금은 소득 기준만 적용하며, 재산은 별도 심사 항목이 아닙니다.
Q3. 상위 10%는 어떻게 구분되나요?
건강보험료 기준 또는 종합소득 기준으로 상위 10%는 감액 지급됩니다.
Q4. 자녀가 대학생인데 세대 분리되어 있어요. 가구원에 포함되나요?
세대 분리된 자녀는 가구원으로 포함되지 않습니다. 주민등록 기준으로 판단합니다.
Q5. 어디서 신청하나요?
정부24 또는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, 주민센터에서도 가능합니다.